항상 중요하다는 말만 들었지,
정작 모호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
능력을 갖지 못하였다면,
개선이 가능하도록 분해하여 정의합니다.
문제 정의
= 본질(Essence)
= 호기심(curiosity, q) * 5 whys * 단 하나의 핵심변수(key parameter, p)
= q*w*p
문제 정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
사례를 통해 접근합니다.
[똑똑한 사람은 어떻게 생각하고 질문하는가] 라는 책에 매우 적절한 예시가 있어 인용합니다
[구체적인 누군가 // 원인 때문에 // 대안(시간/돈/감정)을 한다]의 형태로 현상을 구조적으로 이해합니다.
문제 정의 = 호기심(curiosity, q) * 5 whys
더보기
- 현상
- 새가 똥을 싸서 청소비가 매달 30만원씩 들고 있다.
- 5 whys
- 구조화: [A 건물을 인수한 건물주는 // 외벽에 비둘기 똥이 쌓이기 때문에 // 매달 30만원씩 들여 청소 업체를 고용하고 있다]
- 5 whys - Lv1. 왜? 외벽에 비둘기 똥이 쌓여? (1차원적 호기심)
- 구조화: [A 건물 북측 외벽의 가로등에 앉아 있는 비둘기는 // 먹이 활동을 하기 때문에 // 배변 활동을 한다.]
- 5 whys - Lv2. 왜? 다른 곳에는 똥이 쌓이지 않는데 이곳에만 똥이 쌓여? (비교 호기심)
- 구조화: [A 건물 북측 외벽의 가로등은 // 다른 곳의 가로등보다 1시간 일찍 켜졌기 때문에 // 새의 활동시간과 벌레의 활동시간이 겹쳐 먹이 활동이 가능하게 되었다.]
- 결론
- A 건물 북측 외벽의 가로등 점등 시간을 1시간 늦추면 똥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. (가설 형태)
- 실행을 통해 사실 확인이 가능 (똥인지 된장인지 찍어먹어보지 않으면 알 수 없음)
문제 정의 = 단 하나의 핵심변수(key parameter, p)
더보기

새똥에 기여하는 변인에 대한 방정식(나쁜 예시)
- 앞선 결론
- A 건물 북측 외벽의 가로등 점등 시간을 1시간 늦추면 똥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. (가설 형태)
- 단순화
- A 건물 북측 외벽 새똥의 양(M) = k / 가로등 점등 시간 (단 하나의 핵심 변수)
- M = k/t
- 이것은 정밀한 수학이 아니기 때문에 가장 단순한 형태만이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.
- A = k* B 보다 복잡한 형태는 점차 소통 비용을 올릴 뿐입니다.

문제 정의 = q*w*p 관점으로
원인을 점검할 수 있게 됩니다.
- 호기심을 갖고 충분히 Deep why를 실행하지 못하였는가?
- 피상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현상의 원인
- 현상을 복잡하게 이해하여 가장 중요한 것을 놓치지 않았는가?
- 임팩트를 내지 못하는 현상의 원인
'각종 정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정의] 뛰어난 인재 (0) | 2025.09.17 |
|---|